其他账号登录: 注册 登录

한국사회 패턴 재한조선족에 영향 크게 미쳐/ 노계선 박사생 인터뷰

한국사회 패턴 재한조선족에 영향 크게 미쳐




교류는상호적이며주고받는영향역시쌍방향인것이다. 하지만 대등한 것은 아니다. 선진적인 사회나 문화가 그 보다 덜 선진적인 사회 또는 뒤떨어진 문화에 보다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 것은 상식적인 이해로 가능하다.


rugui1.jpg


중한수교와더불어조선족사회는한국이라는보다선진적인사회로진출의문을열게되었고처음에는친척방문, 방문취업제가 위주이던 것이 점차 교류의 범위와 규모가 확대되면서 유학의 길에 오르는 이가 늘어나게 되었다. 조선족 중 그래도 중상위에 있는 군체가 한국으로 들어오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와 포용, 그리고 배움과 옮겨놓기에 적극적인 촉매작용을 하였다.


현재한국학중앙연구원대학원에서역사전공박사과정을밟고있는노계선, 연변대학에서 문학 학사, 석사를 마치고 다시금 한국에 입국하여 학위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98년 대학 졸업 후 6개월만에 한국원광대학에서 1년간  어학연수가 한국생활의 첫 시작이였다.


인터뷰는청량리역영풍문고커피숍에서있었다.


아시다싶이한국은자유민주주의를표방하는나라로서어느한부분에국한것이아니라사회전반에서표현됩니다. 더욱이 언론이나 출판, 발표 자유가 규정되어 있어 우리가 평소에는 볼 수 없는 현상들이 한국에서는 비일비재이지요. 한면으로 시민단체가 수많이 생겨나 이들은 정치 또는 모종 세력에 대하여 견제작용을 하고 있으며 공익사업이나 봉사활동, 기부문화, 서로돕기 등 적극적인 요소로 사회에 스며듭니다. 긍정적인 면이지요. 하지만 일부 시민단체들은 과격적인 정치행위를 서슴치 않으며 불필요한 분열과 혼란을 만드는 것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이러한한국정치또는세력의등장에대하여재한조선족은우리의관점에서바라보고분석하고판단하는지혜가필요한것이다. 하지만 결과는 실망스러울  때가 많은 것이다.


한국에서뉴스에종종재한조선족에대한불미스러운보도가뜹니다. 대표적인 것이 토막살인사건이지요. 분석하여 보면 적지 않은 재한조선족은 한국의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하여 잘못 알고 있는것이죠. 공권력에 대한 무시, 무작정 반항, 차별대우에 대한 불만, 통제력 상실 등이 적지 않은 조선족, 그 중에서도 언어, 지식, 기능 여러면에서 적응력이 차하고 경쟁력을 잃은 이들이 조선족 이미지를 혜손을 합니다.  

물론사건의발생에는주객관적요소가있는법이고, 하지만 현명한 이는 주관적 차원에서 문제의 발생원인을 찾고 해결책을 강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약자의 의식을 버려야 하며 동족이기때문에…”, 독립운동을후손이기에…”라는식의사유방식을버리고약자에대한대우를응당하게생각하는것이아니라우리스스로가자신의발언권을가져야하며이를위해서는적응하고, 협력하고, 초월하면서 파워를 키우고 자체 가치를 높이는 것이 정도이다.


rugui2.jpg

교보문고 광화문점


한국은출판, 독서문화가 참 잘되어 있어요. 광화문 교보문교에 가면 서점문화를 피부로 느낄 수 있지요. 서점 책궤 사이에 앉아서 독서하는 이들을 쉽게 볼수 있지요. 중국에서는 볼 수 없는 한국서점문화의 독특한 풍경이라 할 수 있겠어요. 지식의 보급은 서로간에 쉽게 뉴대감을 형성할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독서실이 하도 많습니다. 엄마, 아이가 공동으로 독서하고 각종 글짓기, 판매이벤트가 수없이 진행됩니다. 이러한 영향은 재한조선족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제가 아는 한 친구는 귀국하여 연변에서 자선사업, 또는 봉사사업 개념의 독서실을 차려놓았습니다.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봉사를 하는 것입니다. 아무 대가 필요없이, 하고 싶은 일이니깐

한국인은중국인에비하여상대적으로성격이외성적이고거침없고자유롭게개인척취향을추구하는경향이심하다. 택시를 타다보면 기사는 마치 국회의원 출마라도 할 듯 꺼리낌 없이 정치와 정객을 논하고 국제사회, 외교를 담론한다. 이들에게서 중요한 것은 개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소비에서 이러한 개성이 그대로 반영된다.


한국은소비천국입니다. 다시 말하면 빚지고 사는 백성이 많지요. 할부제를 실시하기에 일단 사고 보는 것입니다. 이러한 소비 경향은 여가생활, 캠핑족의 탄생, (들)놀이 문화를 발전시키고 있는 것이죠.


일상생활패턴의변화는가정생활의변화를가져오고있다.


한국의아빠들은지금가족화로변화하고있어요. 예전에는 사업, 회사 일에 여유 시간을 많이 할애하였지만 오늘의 아빠들은 주말부터는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을 찾고 소중히 여깁니다. 가족생활과 사회생활 패턴이 변해가고 있으며 이 뒤면에는 가족의 가치와 자아가치에 대한 각성이 꿈틀거리고 있는 것이죠. 이러한 영향으로 하여 재한조선족 사회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본받아 가고 있습니다. 참으로 좋은 모습이라 생각되는데요. 아마 연변에도 이러한 생활패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압니다


지난세기마지막 10년, 중국조선족은 행운스럽게도 한국이란 우리보다 선진적인 사회를 접촉할 기회를 맞았으며 이는 조선족사회 발전에 하나의 기념비로 되는 사건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다.


그로부터 20여년이 지난 오늘, 한중, 나아가 조선족사회는 협력과 합작의 긴 로정에서 미묘한 세력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선진사회를 경험하고 중국의 극변하는 경제대국시대에 살고 있는, 또는 충분히 중국에서 살수 있는 재한조선족은 과연 어떠한 책임감과 지혜로 이 시대에 부끄럽지 않은 자태를 뽑낼 것인가.

육삼/ 사진제공 노계선, 인터넷 자료사진